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K푸드+’ 수출 상반기 9조원 역대 최대치

관련 주요 기사 2
  • K뷰티의 힘… 화장품 수출도 역대 최대[상반기 수출 2제]

    K뷰티의 힘… 화장품 수출도 역대 최대[상반기 수출 2제]

    ‘K뷰티’ 열풍에 힘입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55억 달러(약 7조 5000억원)로, 지난해 상반기(48억 달러)보다 14.8% 증가했다. 연간 화장품 수출액은 2022년 80억 달러에서 지난해 102억 달러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로는 중국 수출액이 10억 8000만 달러(1조 5000억원)로 가장 많았고 미국(10억 2000만 달러), 일본(5억 5000만 달러)이 뒤를 이었다. 특히 폴란드는 지난해부터 수출 증가폭이 가팔라지며 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수출 상위 10개국에 이름을 올렸다. 고지훈 식약처 화장품정책과장은 “미국, 일본은 물론 유럽까지 수출이 늘고 있다는 건 국내 화장품의 품질과 기술력이 해외 소비자들에게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수출 대상국은 지난해 172개국에서 올해 176개국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도 유럽, 중동, 서남아시아, 중남미 등 전 지역에서 고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유럽 국가별 수출액은 폴란드 1억 5000만 달러(2000억원), 영국 1억 달러(1400억원), 프랑스 7000만 달러(950억원) 등이다. 제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품 수출액이 41억 1000만 달러(5조 6000억원)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14.9% 증가한 수치다. 이어 색조화장품(7억 5000만 달러), 인체 세정 용품(2억 7000만 달러), 두발용 제품류(2억 2000만 달러) 등 순으로 집계됐다.
  • 한식 열풍… ‘K푸드+’ 수출 9조원 최대[상반기 수출 2제]

    한식 열풍… ‘K푸드+’ 수출 9조원 최대[상반기 수출 2제]

    올해 상반기 K푸드+(농식품과 농산업) 수출액이 9조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한식 열풍에 힘입어 라면과 소스류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결과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상반기 K푸드+ 수출액이 66억 7000만 달러(약 9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22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농식품 수출액이 8.4% 늘어난 51억 6000만 달러(7조원)로 성장세를 이끌었다. 권역별로는 북미가 10억 3000만 달러로 24.3% 늘었고 유럽연합(EU+영국)은 4억 2000만 달러로 23.9% 증가했다. 특히 라면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라면 수출액은 1조원(약 7억 3000만 달러)에 이른다. 매운 라면을 찾는 해외 소비자가 많고 신제품도 호응을 얻었다. 매운 라면이 인기를 끌면서 고추장과 쌈장, 매운맛 소스 등 소스류 수출도 늘었다. 아이스크림은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대형 유통매장 판매가 증가했다. 5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낸 가공식품 중 라면(24.0%)과 아이스크림(23.1%), 소스류(18.4%)의 증가율이 높았다. 신선식품도 호실적을 거뒀다. 2000만 달러 이상 실적을 낸 신선식품 중 닭고기(7.9%)와 유자(5.5%)의 증가율이 높았다. 신선 가금육은 최대 수출국 베트남의 검역 강화에도 7.6% 증가했다. 삼계탕과 냉동 치킨이 인기를 끌면서 미국 등으로의 열처리 가금육 수출도 늘었다. 유자는 미국 대형 유통매장 내 입점이 이어지고 일본에서 음용이 편리해진 제품이 출시되면서 수출액이 늘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