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어나려는 노력도 없었다…캄보디아서 로맨스 스캠 조직원 활동 한국인 징역 3년
캄보디아에서 연애 빙자 사기(로맨스 스캠) 범죄 단체에 가입해 유인책으로 활동한 한국인 남성 3명에게 법원이 징역형을 선고했다.
부산지법 형사 17단독 목명균 판사는 범죄단체 활동 가입, 사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 A씨, 20대 남성 B씨, 30대 남성 C씨에게 각각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지역에 있는 연애 빙자 사기 범죄단체에 가입해 유인책으로 활동한 혐의로 기소됐다.
법원이 인정한 범죄 사실을 보면 이들은 여성으로 속이며 텔레그램 등을 통해 남성에 접근, “여성을 소개해주는 업체의 실장인데, 회원 가입하면 조건 만남을 할 수 있다”고 속여 남성들을 허위 사이트에 가입시키고 인증 비용 명목으로 돈을 받아 가로챘다. 피해자는 11명이었으며, 모두 145회에 걸쳐 5억 6790만원을 송금했다.
A씨 등은 ‘해외에서 일하면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이 범죄단체 모집책, 상담원의 제안을 받고 현지에 가 범행 수법을 교육받은 뒤 이런 일을 저질렀다. 이 조직은 중국인이 총책이며, 그 아래 유인책과 대포통장 모집책, 인출책 등을 두고 운영됐다.
A씨 등 유인책은 매일 낮 12시 30분부터 새벽 3시까지 근무했으며, 지각하거나 다른 조직원과 싸우면 벌금을 내기도 했다. 3개월 이내에 탈퇴하려면 벌금으로 미화 2만 달러를 내고, 범행에 필요한 컴퓨터 세팅 비용인 ‘개바시’도 내야 했다.
탈퇴할 때는 휴대전화에 있는 모든 자료를 지워 사무실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고, 3개월 이전에 탈퇴한 조직원이 내야 하는 벌금, 개바시를 그와 일행인 다른 조직원에게 부담시키며 탈퇴가 어려운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했다. 다만 3개월 이상 일하면 위약금 없이 퇴사가 가능하고, 그 이전이라도 벌금을 내면 벗어날 수 있었다.
A씨 등은 속아서 범죄단체에 가입했고 강요 때문에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했지만, 목 판사는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A씨 등이 근무 시간 외에는 휴대전화를 빼앗기지 않았고, 숙소에서는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도 있었는데 지인에게 알리는 등 범죄단체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서다.
목 판사는 “사무실 입구와 내부에 경비원이 있었지만, 저항할 수 없는 폭력이나 협박에 해당한다고 보고 어렵다. A씨 등이 속았다거나, 불법행위에 연루될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아무런 고지 없이 범죄단체에 가입했던 것이 아니고, 형법상 책임을 면할 수 있는 강요된 행위도 아니다”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