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선언] 박씨부인과 뺑덕어미
미국의 퍼스트 레이디 힐러리 여사가 상원의원에 당선돼 대통령 부인에서 정치인 힐러리로 당당하게 정계에 입성했다.근소한 표차로 엎치락 뒤치락 하며 세계를 긴장시키는 미국 대통령선거보다도 그녀의정계진출이 더 인상깊었다.
그녀가 남편 후광으로 정계에 입성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오히려 힐러리라는 존재가 그동안 빌 클린턴 대통령을 더욱 돋보이게 했을 것이다.남편의 야망과 포부를 성취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한 내조자로서,그녀는 고전소설의 박씨부인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우리네 현명한 부인이 남편은 돋보이게 하면서 자신은 배경에서 드러나지 않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다면 힐러리가 주는 이미지는그렇지 않다. 그녀는 대통령 부인으로 불릴 때조차도 언제나 힐러리라는 정체성을 유지했고,남편을 보좌하는 배경이면서도 동시에 동지로 남는 여성이었다.
우리 사회에서는 똑똑한 부인을 보는 시각이 이중적이다.긍정적으로말할 때는 평강공주나 박씨부인에 비유하지만 부정적으로 말할 때는뺑덕어미에 비유한다.극성맞은 여편네, 남편을지배하려 드는 여자,드센 여자,치맛바람깨나 일으키고 다닐 여자,잘난 체하지만 밥맛 없는 여자 등등.
사실 힐러리가 처음 국내에 소개될 당시만 해도 국내 언론에 묘사된 이미지는 긍정적이지 않았다.은근히 뺑덕어미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내용이 행간에 담겼고 그것은 술자리의 좋은 안주거리였다.또 정치인 부인 중에서 조금 튀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힐러리에 비유했지만 결코 긍정적인 관점은 아니었다.
우리 사회는 남편을 돋보이게 하되 본인은 조용한 배경으로 남는 여성을 좋아한다.남편을 돋보이게 해줄 능력이 없다면,안에서 뒷바라지하는 헌신적인 모습이나 혹은 정치라는 큰 일에 신경쓰는 남편을 대신해서 고아원이나 양로원을 방문하는 따스한 모습을 연출해야 한다.
언론도 이런 인식을 토대로 정치인 부인들을 평가한다.
똑똑한 여성은 본인이 정치인이라면 모르지만 정치인의 부인으로서는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
당선을 기뻐하며 환히 웃는 힐러리의 사진을 보면서 과거 국회의원선거 때 받은 충격이 되살아났다.국회의원에 출마한 한 정치인의 부인은 TV 9시뉴스를 진행하던 앵커로,단정한 미모와 똑똑한 말솜씨로많은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준 여성이다.9시뉴스를 진행하는 그녀의모습은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젊은 여성에게는 희망을,많은 젊은남성에게는 감탄과 두려움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그런데 바로 그 여성이 남편 선거운동을 위해 동네 목욕탕에서 아줌마들의 등을 밀어준다는 사실이 기사화됐다.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아내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충격과 안타까움을 떨칠 수 없었다.
남편을 위해 할 일이 꼭 그런 식이어야 했는가.
그 정도 능력과 경력을 가진 여성이라면 선거운동을 다른 방식으로했어야 하지 않을까? 아니 능력과 경력에 상관없이 누구라도 그런 식의 선거운동은 하지 말아야 했다.한 여인네로서 동네 이웃사람과 서로 등을 밀어주는 것이야 당연하다.그러나 한 표를 호소하는 정치인아내의 입장에서 하는 그런 행위는 본인뿐만 아니라 정치 자체를 희화화하는 것이다.
능력 있는 여성보다 헌신하는 부인상을 선호하는 현실이 만들어낸풍경이었다.
내 딸은 힐러리같이 되기를 바라지만 부인은 그러지 않기를 바라는이중성은 기성세대 남녀 모두의 시각이다.그러니 우선은 30대 이상여성의 의식전환이 절실하다.많은 남성은 아직도 제 딸을 제외한 다른 여성이 힐러리 같은 여자가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렇다면 다른 여성의 자유로운 능력발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줄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는 아직 여성뿐이라는 점을 여성 스스로 자각해야 하지 않겠는가.
김성옥 장안대교수·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