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총리 중동4국 순방 결산
‘틈새시장’ 공략을 위해 중동 4개국 순방에 나선 이한동(李漢東)총리가 기대이상의세일즈외교 성과를 거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아랍에미리트연합(UAE),오만 등의 국왕 또는 대통령,왕세자,총리,장관 등 실력자들을 연쇄접촉,한국기업의 대외 신인도 제고는 물론 16억9,000만달러 규모의 수주를 사실상 확정했다.
◆수주 성과. 사우디에서 두산중공업이 추진중인 10억달러 규모의 쇼아이바 3차 담수·발전 프로젝트 수주를 사실상 확정짓고 석유화학 플랜트(3억달러 규모)도 우리 기업의 수중에 넣도록 했다.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한국경제 로드쇼에서는 즉석에서 6,200만달러의 수출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밖에 100억달러 규모의 돌핀 가스전 개발,2006년 아시안게임 경기장 및 도하 신공항 건설(카타르),37억9,000만달러규모의 담수·발전설비,정유공장 증설 및 팜섬 개발(UAE),주베일 석유화학 단지 조성(사우디),17억달러의 소하르 정유공장 설비 및 가스전 확장공사(오만) 등에 대해서도 우리 기업의 ‘원청’ 참여를 요청,긍정적 답변을 얻어냈다.
◆신인도 제고 .
카타르 라스라판 공사(3억9,000만달러)에 대한 현대건설의 원청자격 회복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현대건설이 재정불안으로 끝내 탈락했을 경우 우리 기업의 중동 수주는 전반적으로 물건너갈 수밖에 없는 절박한 상황이었다. 이총리는 외환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통해 새롭게 태어난 한국 기업의 실상을 강조, 한국과 한국기업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도 한몫 했다.
◆향후 전망.
플랜트는 수주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란 점에서 정부와 경제계의 일사불란한 팀워크가 기대된다. 특히 중동지역은 내년초까지 총 140억달러 규모를 발주할 예정으로 우리 플랜트 및 건설업체의 ‘황금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때문에 이들 국가의 유력인사 방한 초청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고위급 인사의 공동 방문,수출입은행과 수출보험공사를 통한 보증제도 개선 등이 보다 강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무스캇(오만) 한종태특파원 jt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