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살리자] 한국 해외건설 어제와 2일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과 경쟁이 가능한 국내 업종은 얼마나 될까.
많은 사람들이 메모리 반도체,LCD(액정화면),자동차 등을 꼽을 것이다.그러나 건설을 떠올리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국내 시장에서의 부정적 이미지가 그대로 투영돼 있기 때문이다.1960,70년대 개발시기 해외건설에서 벌어들인 달러가 근대화의 밑거름이 됐고,지금도 연간 수십억달러씩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지만 건설업은 여전히 사양산업의 대명사로 치부되고 있다.
그렇지만 세계 일류에 가장 근접한 산업 가운데 하나가 바로 건설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국내 건설업체들은 해외시장에서 선진국 업체들과 당당히 경쟁하고 있고,발주처로부터도 중국이나 인도,태국업체와는 다른 대우를 받고 있다.공사단가를 좀더 쳐주더라도 한국업체에 시공을 맡기는 외국의 석유 메이저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국민이 그다지 많지 않다.물론 건설산업이 세계 1등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많다.
●한국 경제발전 견인차 역할
지난 65년 현대건설이 태국 도로공사를 따낸 이후 국내 건설업계가 지금까지 해외에서 수주한 공사는 총 1816억 4400만달러어치에 달한다.요즘에야 한 개 품목에서 연간 수백억달러어치의 상품을 수출하는 만큼 그리 큰 금액이 아닌 것 같지만,해외건설 공사에서 벌어들인 달러는 그야말로 우리나라 경제에 오아시스나 마찬가지였다.
지난 79년 한 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63억 5000만달러였다.당시 상품수출금액은 150억달러에 불과했던 것에 견줘 보면 해외건설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65년부터 79년까지 14년동안 국내 건설업체들이 해외건설 시장에서 벌어들인 달러는 220억달러였다.근대화가 한창 진행돼 한 푼의 달러가 아쉽던 시기에 해외건설에서 벌어들인 달러는 우리경제 성장의 견인차였다.
뿐만 아니라 해외건설로 벌어들인 달러는 80년대 후반 2차례에 걸쳐 석유파동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기름값 상승으로 시작된 석유파동은 거꾸로 중동지역 산유국의 풍요로 이어져 국내 건설업계가 공사를 수주하는 호기로 작용,그 때마다 국내 석유위기를 돌파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현대건설의 한 임원은 “60년대 말 해외건설 현장에서 달러가 막 들어오자 외환은행이 달러를 어떻게 활용할지 몰라 쩔쩔맸다.”면서 “이 자금들이 한국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80년대 초 해외건설 산업의 GNP(국민총생산) 기여도는 5%였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60,70년대는 기여도가 훨씬 더 컸을 것으로 업계는 평가한다.
●가스플랜트 공기단축 능력 탁월
국내 건설업체들이 강점을 지닌 부분은 원유·가스 플랜트 분야와 담수화 프로젝트,발전·변전소 건설사업 등이다.이 분야는 실시설계에서부터 시공,감리까지 탁월한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가스 처리시설 공사는 국내 업체들이 가장 경쟁력을 가진 분야다.중국이나 인도 등 후발개도국은 토목분야에서는 우리를 추월했지만 아직 플랜트 부분의 실력은 우리와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일본,유럽 업체의 경우 시공력은 우리나라에 못지않지만 공사 단가가 높다.뿐만 아니라 공기단축면에서는 한국 건설업체를 따라오지 못한다.대신 이들 업체는 자금력을 바탕으로 개발사업에 치중한다.
선진국-개발사업,한국-플랜트,중국·인도-토목·단순플랜트로 역할분담이 이뤄진 것이다.따라서 가스 처리시설 공사는 한국업체가 끼지 않으면 컨소시엄이 구성되지 않는다.
발주처가 한국업체를 공들여 초청하는 사례도 많다.한국업체가 참여하지 않으면 다른 컨소시엄이 높은 가격을 써내기 때문이다.경우에 따라서는 우리업체들만 참여하기도 한다.서로 ‘제살 깎아 먹기식’ 경쟁이어서 눈살을 찌푸리는 일도 있지만 우리 건설업체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란 아살루에 지역 가스처리시설 공사 가운데 2,3단계를 현대건설에 발주한 프랑스 국적의 세계 4대 석유메이저인 토탈사는 요즘 현대건설에 아살루에 현장 13,14단계 공사에 참여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시공경험이 풍부한 현대건설은 공기를 5∼6개월 단축하기 때문이다.공기가 앞당겨지면 발주처로서는 투자금을 그만큼 빨리 회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향후 10년간은 가스 플랜트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한다.해외건설협회 김종현 정보기획 실장은 “가스 플랜트는 최소한 10년은 우리의 경쟁력이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올 중동서 219억弗 수주 협상
현재 국내 건설업체들이 중동에서 수주협상을 벌이고 있는 건설공사는 이란 4개사 82억달러를 포함,86건 219억달러에 달한다.이 사업들 가운데 올해와 내년에 전체의 3분의1은 따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해외건설 수주전망을 밝게 보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해외건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 다변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많다.중동은 유가가 하락하면 건설시장이 곧바로 위축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중동의 대체시장으로 급부상하는 곳이 바로 옛 소련지역이다.이 지역은 석유나 가스 매장량이 중동지역 못지 않게 풍부하다.
실제로 국내 업체들은 요즘 중동에서 러시아나 카자흐스탄 등 다른 지역으로 수주지역을 확대하고 있다.현재 이 지역에서 수주협상을 벌여 연내 수주가 유력한 공사가 30억달러에 달한다.이미 사할린에서는 대우건설이 2억달러 상당의 공사를 이달에 착공한다.
LG건설은 러시아 타타르스탄자치공화국에서 20억달러 규모의 가스처리시설 공사를 따내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가을쯤 수주가 유력시된다.LG건설 유영선 과장은 “중동에서 쌓은 경험을 살려 러시아쪽으로 수주지역을 넓히고 있다.”면서 “시공능력에다 개발경험까지 쌓이면 향후 10년 정도는 어느 나라도 넘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에서는 현재 한국건설업체와 한국기업이 포함된 컨소시엄이 이르쿠츠크 가스파이프라인 공사(110억달러) 등 모두 10여개 사업,323억달러 규모의 수주 협상을 벌이고 있다.
플랜트 사업은 보통 국산자재 사용률이 30∼50%에 달한다.또 수익성도 뛰어나다.기본설계 능력의 배양 등 아직 보완할 점이 많기는 하지만 플랜트 사업을 주축으로 한 해외건설은 사양산업이 아닌 성장산업이라는 게 해외건설 현장에서 만난 근로자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