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논어의 숲, 공자의 그늘(신정근 지음, 심산 펴냄) 저자(성균관대 유교동양학부 교수)에 따르면 논어는 온갖 자원과 생명을 잉태한 숲처럼 동아시아 지성사에 숱한 사유의 갈래를 낳았다. 그래서 논어는 숲과 같다. 그렇기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 많은 사람들은 공자라는 거대한 그늘에서 안식처를 찾았다. 그래서 공자는 그늘과 같다. 그 숲과 그늘이 얼마나 컸던지 장자(莊子)조차 자신의 저작 곳곳에 상징자본으로 공자를 출연시키기도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2만 8000원.●아프리카 신화(지오프레이 파린더 지음, 심재훈 옮김, 범우사 펴냄) 아프리카는 크게 이집트 지역과 사하라 사막 이남의 이른바 ‘블랙 아프리카’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집트는 아프리카보다는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동지중해나 서남아시아 지역과 더욱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교류를 지속해왔다. 따라서 같은 아프리카라고는 하지만 이 두 지역은 적잖이 다르다. 이 책에서는 블랙 아프리카 신화를 다룬다. 로마의 작가 플리니는 “아프리카에서는 항상 뭔가 새로운 것이 생겨난다.”고 했다. 그만큼 이야깃거리가 많은 곳이 아프리카다.1만 2000원.●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홍면기 지음, 삼성경제연구소 펴냄) 한국이 동북아에서 ‘질서형성자’의 역할을 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런 약소국 현실주의의 관성은 우리 장래를 위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책은 ‘가능성의 공간’으로 중국의 동북지방에 주목한다. 한반도가 동북아의 중앙에서 동해와 황해를 아우르며 지중해의 중심과 같은 위치를 찾아갈 때 비로소 통일의 지정학은 완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5000원.●모노하의 길에서 만난 이우환(김미경 지음, 공간사 펴냄) 모노하(もの派)는 1960∼1970년대 일본 미술의 한 경향. 나무, 돌, 점토, 철판, 종이 등의 소재를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보여줌으로써 사물에 근본적인 존재성을 부여하는 한편 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선 ‘모노하의 창시자’로 불렸고 일본에선 모노하의 이론적인 부분을 정립한 인물로 인정받는 화가 이우환을 다뤘다. 모노하에서 이우환과 양대 산맥을 이룬 일본작가 스가 기시오의 저술과 이우환을 비판한 지바 시게요, 히코사카 나오요시 등의 논지도 소개한다.2만원.●글짓기 조심하소(김려 지음, 오희복 옮김, 보리 펴냄) 조선시대 문필가 김려가 남긴 시와 이야기, 일기 등을 골라 실었다. 함경도 민중들의 삶을 담은 연작시 ‘사유악부’, 장편서사시 ‘방주의 노래’, 귀양길의 기록인 ‘감담일기’ 등을 만날 수 있다.3만 5000원.●기니피그 사이언티스트(레슬리 덴디 등 지음, 다른 펴냄) 스테이크가 구워질 정도로 뜨거운 열에 인간이 노출되면 어떻게 될까? 1770년대 이같은 궁금증을 품었던 영국의 내과의사 조지 포다이스는 죽음을 무릅쓰고 동료들과 함께 자신의 몸을 대상으로 실험을 감행했다. 그들은 방의 온도가 127℃까지 올라 스테이크가 완전히 구워질 때까지 땀을 쏟으며 견뎌냈고 이 실험을 통해 외부 온도가 아무리 올라도 인간의 체온은 36.7℃를 넘어서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자신의 몸을 실험대상으로 삼았던 용맹무쌍한 과학자 10명의 이야기를 소개.9800원.●음유시인, 가객 김광석과 떠나는 추억여행(문제훈 엮음, 여름숲 펴냄) ‘부치지 않은 편지’‘광야에서’‘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등을 노래한 음유시인 김광석을 추억하며 엮은 영상 에세이집. 그의 노래에 얽힌 이야기들을 잔잔한 산문으로 풀어냈다.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