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라함·하찮음·무의미… 거장의 원숙한 시선엔 가벼움과 무거움 공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거장의 작품이 나왔다. 21세기 최고의 생존 작가로 꼽히는 밀란 쿤데라(85)가 ‘향수’ 이후 14년 만에 낸 소설 ‘무의미의 축제’(민음사)다. 지난해 10월 이탈리아어판, 지난 4월 프랑스어판으로 첫선을 보인 책은 “쿤데라 문학의 정점”(퍼블리셔스 위클리), “쿤데라가 독자들을 위해 열어 준 지혜의 축제”(르몽드) 등의 외신 평을 받으며 쿤데라 노년기 문학의 압축판으로 여겨진다.
쿤데라의 팬이라면 작가가 직접 그린 추상화, 자필 서명이 들어 있는 표지에서부터 마음이 사로잡힐 만하다. 이번 작품의 번역가는 쿤데라의 첫 장편소설인 ‘농담’을 시작으로 ‘우스운 사랑들’, ‘삶은 다른 곳에’ 등 작가의 주요 작품을 우리말로 옮겨 온 방미경(52) 가톨릭대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1980년대 후반 불문학도로 파리에서 유학하던 시절 처음 쿤데라의 작품을 접하며 작가의 팬이 됐다는 방 교수는 국내 몇 안 되는 ‘쿤데라 전문가’로 통한다. 쿤데라 신작의 ‘첫 번째 독자’인 그에게 소설의 의미를 물었다.
→지난해 출간된 ‘밀란 쿤데라 읽기’에서 ‘쿤데라는 소설이란 어쩌면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어떤 단어의 정의를 오래 추적하는 작업일지 모른다고 했다. 쿤데라의 소설은 그런 의미에서 ‘농담’, ‘가벼움’, ‘느림’, ‘불멸’, ‘사랑’ 같은 단어들에 대한 작가 고유의 정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썼다. 이번 작품은 어떤 단어에 대한 정의로 읽히나.
-한마디로 ‘무의미’다. 의미 없음, 보잘것없음, 하찮음, 초라함 등이 이 작품을 꿰는 핵심이고 쿤데라 문학의 핵심이다. 제목은 ‘무의미의 축제’로 나왔지만 원제와 더 잘 맞아떨어지는 뜻도 이런 단어들이다. 작가는 ‘하찮은 것, 보잘것없는 것이 우리 삶과 인간에 얼마나 중요한 건지 아느냐’는 물음을 던지고 있다. 스탈린의 일화까지도 한바탕 꿈 같은 인형극으로 치환한 것은 역사가 어마어마해 보이는 이데올로기, 사건, 사람들의 결정으로 이뤄져 온 것 같고, 우리 삶도 비극으로 점철된 것 같지만 어느 순간 뒤돌아보면 모든 게 다 사소하고 보잘것없다는 공허함, 허무감이 전작들보다 더 깊게 배어 있다.
작가는 고국인 체코에서 망명한 뒤 체코에서 거부도 당하고 거센 비판에 휩싸였다. 그게 얼마나 뼈아프고 고통스러운 체험이었겠나. 이건 쿤데라가 굉장히 싫어하는 말일 테지만, 이런 체험에서 그는 근본적으로 인간과 인간의 관계, 나와 세상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다고 인식하게 된 것 같다.
→전작과 겹치는 공통분모, 두드러지는 변화를 꼽는다면.
-(농담과 웃음, 가벼움과 무거움, 느림과 속도, 불멸과 죽음 등) 과거 그의 작품에서 등장했던 주제들이 변주돼 반복된다. 다른 점이라면 비극을 농담처럼 만들고 무거운 주제를 가볍게 돌리는 특유의 화법이 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것이다. 세련된 화법으로 거장의 솜씨와 존재감이 느껴지는 반면, 서사의 뼈대가 약하고 사소한 에피소드에 대한 탁월한 묘사, 표현 등은 증발해 버린 것 같아 팬으로서는 아쉽다. 하지만 쿤데라 문학의 전체 노선에서 봤을 땐 자연스러운 풍경일지도 모른다. 노장이 긴 말 할 필요 없이 마음대로 썼다는 느낌이다.
→쿤데라 문장의 묘미와 그의 작품이 우리 시대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쿤데라 문장의 매력은 무거움과 가벼움이 공존하는 동시에 인간의 마음속으로 파고들면서 우리가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것들의 가면을 확 벗겨 버리는 데 있다. 그의 문학은 세상에서 이뤄지는 모든 일을 한쪽 시선에서 바라보지 않고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게 쿤데라가 이룬 가장 큰 경지일 것이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