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경리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Ʊ׶-񡩾Ʊ׶󼺺-pom5.kr-񡩾Ʊ׶ ó Visit our website:(xn--fast-fy4p586i.com)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Ʊ׶-񡩾Ʊ׶ Ѿ˰-pom555.kr-񡩾Ʊ׶ Visit our website:(viagrabuy365.com)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994
  • [소설가 박경리 타계] 故 박경리 선생 영전에

    [소설가 박경리 타계] 故 박경리 선생 영전에

    이 나라 산천이 꽃과 신록으로 더욱 곱게 단장하는 이 5월 맑은 날에 하늘 한 자락 흔들며 들려온 선생님의 부음을 받고 빈소로 달려갔습니다. 임종이 가까웠다는 소식을 듣고 병실을 찾았을 때만 해도 다시 일어나시어 붓을 잡으시리라는 실낱 같은 기대를 걸어보았습니다마는 그 불꽃의 정신과 혼과 살을 바친 문학으로 다독이고 끌어안던 이 나라 산과 물을 뒤로 하고 떠나신다니 천지가 아득하기만 합니다. 선생님은 이 시대와 함께한 위대한 소설가셨을 뿐 아니라 민족사에 높은 탑을 지으신 자랑스러운 한국인이셨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남다른 모국어의 혼불을 키우시더니 저 동족상쟁의 고난 속에서 붓을 잡고 일어나 한국 소설의 새벽을 여는 작가로 첫발을 내디뎌셨습니다. 장편소설 ‘김약국의 딸들’ ‘시장과 전장’은 순수 장편문학의 불모지에 무성한 숲을 키워 꽃을 피우고 열매를 거두어, 그로부터 이 땅의 문학은 풍요와 중흥의 새날을 맞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이 개간한 소설의 영토와 굴착한 민족문학의 광맥은 어찌 다 그 넓이와 깊이를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지난 한 시대의 모진 비바람 속에서도 선생님은 오직 붓 한 자루로 어두운 방에서 글을 쓰셨습니다. 1969년부터 1994년까지 25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밤을 낮 삼으시면서 집필하신 대하소설 ‘토지’는 한국문학사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사에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대역사이며 인류가 함께 영원히 읽는 대작이었습니다. 세계문학사에 이름이 올라 있는 어느 작가, 어느 시인의 위업이 ‘토지’에 바쳐진 시간과 정신과 노동에 필적할 만하겠습니까. 박경리 선생님! 제가 월간 문예지 ‘한국문학’을 어렵게 꾸려가고 있을 때 힘을 보태주시려고 ‘토지’ 제3부의 원고를 주셨습니다.2년여 전이었던가요. 동아일보사 강당에서 있었던 김동리 선생님 추모 모임에 오셔서 오늘의 우리 문단이 김동리 선생님 같은 어른을 잘 모시지 못한다고 꾸지람을 하시는 것을 듣고 저희 같은 후학들은 회초리를 맞는 아픔을 느꼈습니다. 그렇습니다. 선생님을 소설로 이끄셨던 김동리 선생님도 가시고 그렇게 문단의 어른을 받들줄 알고 참 문학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실천으로 가르쳐주신 선생님도 이제 떠나셨으니 이 적막을 어찌 하겠습니까. 이 나라 산과 물이 울고 선생님의 글로 살찌우며 자란 이 땅의 사람들이 통곡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이시여! 더 넓은 하늘 더 넓은 땅에 가셔서 더 큰 붓으로 못다 쓰신 겨레의 혼불 밝혀주소서. 2008년 5월5일 후학 이근배 곡만(哭輓)
  • [소설가 박경리 타계] 1999년 문 연 토지문화관은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오봉산 기슭에 고즈넉히 엎드린 토지문화관. 1998년 세인의 관심 속에 첫 삽을 뜨고 이듬해 6월 문을 연 이후 그곳은 환경과 생태를 사랑하는 이들을 위한 터전이 돼왔다. 토지문화관 설립을 앞두고 그 취지를 밝히던 고인의 육성을 지금도 많은 이들은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사고하는 것은 능동성의 근원이며 창조의 원천입니다. 그리고 능동성이야말로 생명의 본질입니다. 하여 능동적인 생명을 생명으로 있게 하기 위하여 작은 불씨, 작은 씨앗 하나가 되고자 하는 것이 토지문화재단 설립의 뜻입니다.(…)우리와 이웃 나라의 석학, 예술인이 모여 환경을 위하여 여러 방면의 현안 문제를 고민하고 토의함으로써 우리들 삶을 추구하고 미래를 모색해 보는 것입니다.” 청계천 복원 계획에 동조하다 이후 사업이 개발 위주로 흐르자 “발등을 찍고 싶을만치 후회와 분노를 느낀다.”고 일갈했던 그는 끊임없이 환경문제를 고민했던 문단의 큰 스승이었다.2003년 문학과 환경문제를 다루는 계간지 ‘숨소리’를 창간했고,2004년에는 1995년부터 신문과 잡지 등에 기고한 글로 엮은 환경 에세이집 ‘생명의 아픔’(이룸)도 출간했다. 호젓한 산기슭으로 글터를 옮겼음에도, 문단이나 독자들이 박경리를 ‘어머니 작가’로 한순간도 잊지 않고 있었던 데는 이유가 있다. 여러개의 집필실을 갖추고 있는 토지문화관은 이 시대를 고민하는 작가들에게 둘도 없이 아늑한 창작공간이었다. 숙식이 공짜로 제공된 창작공간에서 소설가 박완서, 박범신, 은희경, 천명관, 고진하를 비롯해 영화감독 이광모 등이 줄기차게 빛나는 작품들을 길어올렸다. 지난 10여년간 토지문화관은 마르지 않는 창작의 샘터였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 [길섶에서] ‘월선’의 꿈/최태환 수석논설위원

    평사리는 여전히 평온한 봄일까. 박경리 소설 ‘토지’의 무대다. 박경리가 며칠 전 쓰러졌다. 얼마 전 신작시를 발표했던 그다. 그는 삶을 놓을지 모른다고 예감했던 것일까. 하지만 쇠잔한 육신이 절망은 아니었던 모양이다.‘모진 세월 가고/아아 편하다 이리 편한 것을/버리고 갈 것만 남아 참 홀가분하다’(옛날의 그집) 보내는 삶은 가슴 속 그리움의 현현이었을까.‘어머니 생전 불효막심했던 나는/사별후 삼십여 년/꿈속에서 어머니를 찾아 헤매었다’(어머니) 삶이란, 사랑이란 놓으려 할 때 더 청정해지나 보다. 소설 속 월선의 죽음을 배웅하는 용이의 모습이 선명하다. 서로 떨어져 등이 휘도록 서럽게 살았지만, 평생 그리워했다. 마음으로 사랑했다.“방으로 들어간 용이 월선을 내려다본다.…‘우리 많이 살았다’‘야’‘니, 여한이 없제’‘야, 없십니다’‘그라믄 됐다, 나도 여한이 없다.’”기름떨어진 호롱의 심지처럼, 기름 아닌 심지를 태우면서도 죽지 못하고 용이를 기다렸다던 월선이다. 박경리가 쾌차할 수 있을까. 차분했던 음성을 다시 듣고 싶다. 최태환 수석논설위원
  • 中 후춘화 등 6세대지도부 부상

    中 후춘화 등 6세대지도부 부상

    중국 6세대 지도부가 차기 선두주자로 부상하고 있다. 홍콩문회보(文匯報)는 30일 중국공산당 권력 예비군인 공산주의청년단(共靑團) 중앙 제1서기에 루하오(陸昊·41) 베이징시 부시장이 임명될 예정이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루 부시장은 전임 공청단 서기였던 후춘화(胡春華·45) 허베이(河北)성장과 함께 중국 6세대 지도부의 양대 선두주자로 올라섰다. 두 사람은 15년 후 중국을 이끌어갈 기대주다. 최연소 승진 기록 경신 경쟁도 벌이고 있다. 루 부시장은 베이징시 역사상 최연소 부시장이었다.7200만명을 거느린 공청단 조직 수장에 올라 최연소 부장(장관)급 간부 기록도 세우게 됐다. 상하이 출신으로 베이징대 경제관리과를 졸업한 뒤 베이징대 공청단 상임위원을 지냈다. 문화대혁명 이후 처음 치러진 베이징대 학생회 직선에서 주석으로 선출돼 일찍이 주목받았다. 1995년 28세 때 베이징 의류제조공장 책임자가 되면서 당시 베이징시 최연소 국유기업 총수 자리에 올랐다. 단기간에 흑자 실적을 올려 경영수완도 발휘했다. 이후 베이징시 방직주식회사 부총경리를 거쳐 35세때인 2003년 베이징시 부시장에 발탁됐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 박경리 쾌유기원 촛불모임

    이달초 뇌졸중 증세로 입원한 소설가 박경리(82) 선생이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선생의 쾌유를 기원하는 촛불모임이 열리기 시작했다. 강원도 원주 토지문학공원 내 ‘박경리 옛집’(소설 ‘토지’를 탈고한 장소)에서는 26일부터 원주 지역 문화예술인과 시민들이 모여 선생의 빠른 회복을 기원하는 자발적 모임을 갖고 있다. 고창영 토지문화공원 소장은 27일 “박 선생님 소식을 들은 분들이 가만히 있을 수 없다는 뜻을 밝히면서 자연스레 모임이 만들어졌고 첫날인 26일엔 40여명이 참석했다.”면서 “현재 지역 단체와 개인들이 참여의사를 속속 밝혀오고 있다.”고 말했다. 고 소장은 “촛불 하나 손에 들고 간절한 마음을 담아 묵념한 후 돌아가면서 선생님의 시나 ‘토지’의 몇 구절을 낭송하는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참석자들의 간절한 바람이 하늘에 닿아 기적처럼 선생님께서 건강하게 돌아오시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선생이 위독하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부터 공원을 찾는 관람객도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촛불모임은 매일 저녁 7시부터 한 시간 동안 진행되며, 선생이 의식을 찾을 때까지 계속될 예정이다.(033)762-6843.이문영기자 2moon0@seoul.co.kr
  • [글로벌 시대] 경력을 디자인하라/최정아 ㈜새로움닷컴 인터내셔널 대표

    [글로벌 시대] 경력을 디자인하라/최정아 ㈜새로움닷컴 인터내셔널 대표

    직장생활을 묘사한 드라마를 보면 한결같이 등장하는 캐릭터가 있다. 창의적이지만 삐딱한 말단직원, 아부만이 살 길이라고 손바닥을 비벼대는 과장급 직원, 무능하고 안하무인인 차장이나 부장. 너무나 무능해서 삶의 비애조차 느끼게 하는 임원, 그리고 권위적이고 골프만 치는 사장…. IMF는 이들 차장·부장·임원·사장의 철통 같은 자리마저도 뒤흔들어 놓았다. 직업상 다른 직장을 물색해 달라며 찾아오는 부장·임원들과 자주 만나왔다. 직접 인터뷰를 해보면 10여년 근무한 직장에서 무슨 업무를 해왔는지도 파악이 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력서도 입학 졸업에, 입사·퇴사라고만 반복해서 써놓았을 뿐 그 사람의 전문 분야가 무엇인지, 어떤 능력을 가졌는지 전혀 알아볼 수 없다. 어떤 일을 해왔는지 간략하게 설명해 달라고 부탁이라도 하면 말문이 막혀 그냥 무역 파트, 경리 업무 혹은 ‘그동안 내가 무슨 일을 했지?’라고 되묻는 해프닝이 벌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연차가 쌓이고 직급이 올라갈수록 자신의 경쟁력과 경력을 다져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일만 충실히 수행해온 데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외국회사에서 온 이력서를 보면 본인이 직급에 맞는 구체적인 업무에다 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해온 경력사항까지 소상하게 기입해 놓아서 이력서라는 말에 걸맞게 한 사람이 이 사회에서 걸어온 발자취를 생생하게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회사원들은 직급이 올라갈수록 책상은 넓어지는 대신 실무는 멀어지고 일과 무관한 신문·잡지가 책상을 채우지만, 외국회사는 관리직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업무에 대한 책임량이 많아지고 해야 할 일도 많아진다. 자연히 그 업무 수행을 위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긴장의 강도도 높아진다. 이러한 개인의 노력에 체계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박차를 가하는 것이 이른바 ‘커리어 플래닝’‘커리어 디자인’’커리어 브랜딩’이라는 다소 낯선 용어들로 대변되는 경력관리 프로그램이다. 짧게는 월별로 길게는 3년,5년,10년 단위로 현재 본인이 잘 걸어가고 있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올해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금 당장 어떤 일들을 해야 하는지, 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어떤 자기계발이 필요한지를 돌아보면서 본인을 회사의 부속품이 아닌 경쟁력 있는 한 개인, 상품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경력관리 프로그램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경력에 합당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지금까지 경리 업무를 4년간 해왔고 거기에 만족을 느끼며 적성도 맞으니깐 올해는 미국식 회계 시스템인 AICPA를 따겠다.’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목표를 세운 후에는 그 목표가 정말 나한테 맞겠는지 동료나 전문가에게 피드백까지 받는다.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시행하는 적성검사나 심리검사는 내가 이런 사람이었구나 하는 것을 파악하는 데서 그치지만 경력관리 프로그램은 실제로 나에게 맞는 실질적인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지금부터 일주일 안에 시작해야 할 것은 무엇이고 당장 시작할 것은 무엇인지까지 세부적인 목표를 세우게 한다. 다시 말해 구체적인 생산성 향상과 직결되는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개인적 커리어에서 성공하여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싶다면 지금부터라도 경력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되는 대로 살자’의 마인드에서 ‘내가 원하는 대로 살겠다’로 마음을 고쳐먹고 힘겨운 노력을 즐겁게 할 수 있을 때 글로벌 시대의 인재로 당당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최정아 ㈜새로움닷컴 인터내셔널 대표
  • 박경리 중환자실서 일반병실로

    박경리 중환자실서 일반병실로

    대하 장편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82)씨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입원 치료를 받고 있으나 여전히 의식불명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25일 토지문화관 관계자와 지인 등에 따르면 박씨는 지난 4일 원주에 머물다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서울 송파구 서울 아산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현재 박씨는 의식이 없는 상태로,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옮겨져 치료 중이다. 아산병원의 한 관계자는 “박씨가 의식 불명인 상태에서 일반 병실로 옮겨졌다.”면서 “상태가 너무 악화돼 더이상 손을 쓸 수 없는지, 아니면 호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줄 수 없다.”고 밝혀 박씨의 건강 상황이 매우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병실을 찾은 시인 이근배씨는 “의식은 없지만 손을 잡고 이야기를 하면 알아듣는 것 같다고 가족들이 전했다.”며 “여전히 위중한 상태”라고 말했다. 박씨를 잘 아는 한 문인은 “박씨가 고령이어서 상태를 속단할 수 없다.”면서 “문단에서 중진 몇 사람이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장례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박씨는 지난해 7월 폐암 3기 판정을 받았지만 본인이 치료를 거부하고 원주 토지문화관에서 요양하면서 지내왔다. 그는 월간 ‘현대문학’ 4월호에 ‘어머니’‘옛날의 그 집’‘까치 설’등 3편의 시를 발표, 변함없는 창작에 대한 의지를 불태웠다. 1926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난 박씨는 45년 진주여고를 졸업하고 50년 황해도 연안여중 교사로 재직했다.55년 현대문학에 단편 ‘계산’으로 등단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62년 장편 ‘김약국의 딸들’을 비롯해 ‘시장과 전장’‘파시’ 등 현실비판적 성격이 강한 문제작들을 잇따라 발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69년부터 94년까지 25년에 걸쳐 집필한 ‘토지’는 파란만장한 한국 근·현대사를 깊이 있게 읽어낸 한국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
  • [이건희 회장 떠난 삼성] 이수빈 새 대외대표는 누구

    삼성그룹의 대외대표를 맡게 될 이수빈(69) 삼성생명 회장은 1965년 삼성에 입사한 최고 원로이다. 78년 제일모직 사장에 오르는 등 그동안 최고경영자(CEO) 경력만 20년이 넘는다. 이 회장은 선대 이병철 회장 시절부터 신임받았다. 이수빈 회장은 제조와 금융 분야를 두루 경험한 삼성의 간판 경영인으로 통한다. 입사한 지 13년만에 간판기업 사장을 맡는 등 초고속 승진의 신화를 만들었다.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제조업에서 성공했다면, 이수빈 회장은 제조업과 금융업에서 모두 성공했다. 이 회장은 온순하고 합리적인 성격이다. 경리 분야 출신답게 특히 숫자에 밝고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장은 이건희 회장이 없을 때 그동안 그룹의 얼굴 역할을 대신해왔다. 이 회장은 이건희 회장이 폐암수술 후 정밀진단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던 2006년 1월 삼성그룹 신년하례식 등 공식 행사를 주관하는 등 그룹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회장의 고교 4년 선배 이 회장은 이건희 회장의 서울사대부고 4년 선배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정영숙씨와의 사이에 1남2녀.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 끝 모를 이한정 당선자의 과거

    학력·경력 위조 등으로 구속 수감된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당선자 이한정씨의 전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원지법 여주지원이 2000년 11월 선고한 판결문에 따르면 이씨는 2000년 16대 총선에서 경기도 이천에 출마했다가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유포 및 공·사문서 위조·행사 등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이씨는 1996년 광주제일고등학교·옌볜대학교의 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를 수원대 경영대학원 입학전형에 제출했다가 당시 검찰수사를 통해 들통나 석사학위가 취소됐다.1975년 알고 지내던 광주 여인숙 집 딸을 회사 경리사원으로 취직시켜 준다고 2만원을 챙겼다가 사기죄로 징역 10월을 선고받았다.1978년에는 서울의 한 정육점 주인에게 방송사 총무부장을 사칭해 쇠고기 10근을 편취하는 한편, 대기업 계열사로부터 2만원을 챙겼다가 징역 1년을 선고받기도 했다. 이후 1981년에는 7개 제약회사와 식품회사를 상대로 8차례에 걸쳐 방송사 기자라고 속여 14만 4000원 상당의 물품을 가로챘다가 공갈죄 등으로 징역 10월을 선고받은 전력도 있다.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통합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자 정국교씨는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던 상장사 에이치앤티(H&T)의 주식을 팔아 400억원대 부당 이득을 봤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에이치앤티는 지난해 4월 우즈베키스탄에서 태양전지 원료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공시한 뒤 주가가 4000원대에서 8만 9000원까지 치솟았으며 정 당선자 등 대주주들은 그 해 10월 53만주(3.29%),400여억원어치를 장내에서 매각했다. 검찰은 정씨는 실제 제대로 추진되지 않던 해외 현지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허위 또는 과장된 사실을 유포해 인위적으로 시세를 조종해 주가를 끌어올린 뒤 처분해 막대한 부당이득을 취했으며 이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고 대주주 신고 의무도 위반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 특검, 삼성본관 압수수색… 11일 이회장 재소환

    삼성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는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11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을 다시 소환 조사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윤정석 특검보는 이날 “11일 오후 2시 이 회장을 불러 마무리 수사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조사할 예정”이라면서 “현재 진행 중인 비자금, 차명계좌 의혹 등과 관련해 지난 4일 소환 조사에서 마무리하지 못한 부분을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회장을 상대로 차명계좌와 차명주식 등을 이용해 관리한 돈의 출처와 사용처를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지난 조사에서 이 회장이 에버랜드 사건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하는 등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 수사에서 일부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차명으로 관리되는 돈이 이 회장의 개인재산이라는 삼성 쪽 주장을 뒤집지 못해 의혹 규명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 이 회장을 재소환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차명주식 관련 자료 등을 확보하기 위해 태평로 삼성본관에 수사관을 보내 25층에 있는 삼성전자 최도석 사장의 집무실과 24층 재경팀(재무·회계·경리 담당)·IR(Investor Relations 투자자 대상 홍보)팀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삼성전자에 요청한 대외비 자료를 받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유지혜 장형우기자 wisepen@seoul.co.kr
  • 군산·김제·부안 농지값 폭등

    새만금지구 배후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군산·김제·부안지역 농지값이 폭등하고 있다. 새만금 내부개발이 가시화되고 현대중공업 등 대기업의 입주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새만금 개발의 직접 영향권인 김제시 진봉·죽산·부량면 일대는 지난해 초 3960㎡에 3000만∼3500만원 하던 논값이 최근 5000만원선까지 올랐다.새만금 배후 핵심지역인 진봉면 심포 지역은 6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지만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로 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김제시 죽산면 종신리 일대 밭은 3.3㎡에 4만∼4만2000원으로 2007년 2만 5000원보다 68%나 급등했다. 군산지역은 새만금개발과 경제자유구역지정 영향으로 개발붐이 불면서 농지값이 폭등했다. 군산시 성산면 둔덕리와 성덕리는 논 3.3㎡에 40만원으로 2006년 10만원에 비해 4배나 올랐다. 대야면 죽산리와 지경리도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 일대 밭 역시 3.3㎡에 2만 5000원으로 1년 전 1만 5000원보다 66% 상승했다. 새만금 간접 영향권인 고창·정읍 일대 농지값도 들썩이고 있다. 정읍시 감곡면 대신리 논값은 3.3㎡에 3만 5000원으로 2006년 말 2만 3000원보다 52% 올랐다. 전북도 관계자는 “새만금 내부개발이 가시화되면서 도내 서부지역 땅값이 급등하고 있으나 실제 개발사업이 이뤄지려면 상당 기간이 지나야 한다.”면서 “투기 목적의 농지 구입을 철저히 가려낼 방침”이라고 말했다.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 [Metro] 영흥도 ‘납골당 건립’ 주민 반발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에 인천 최대 규모의 납골당과 납골묘 건립이 추진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2일 영흥도 주민들에 따르면 B재단은 영흥면 내리 산114 일대 4만 7315㎡에 납골당 15만기와 납골묘 2980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영흥도 주민들은 납골시설 건립 추진 소식이 알려지자 서명을 벌이는 등 반대운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혐오시설인 납골시설이 들어설 경우 섬의 이미지가 나빠져 주요 소득원인 관광산업이 타격을 입게 되는 데다 교통난 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영흥면청년회측은 “납골시설 예정지 인근에 영흥의 대표적 관광지인 십리포·장경리 해수욕장이 있는데 납골당이 들어서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밝혔다.옹진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자금운반 선거운동원 적발

    경북 영양경찰서는 2일 18대 총선에 출마한 유력 후보측 운동원 A(72)씨 등 2명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긴급 체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11시40분쯤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국도상에서 A씨 차량 편으로 불법 선거운동 자금으로 추정되는 현금 591만원을 운반하다 뒤쫓아온 영양군 선거관리위원회 직원과 경찰에 적발됐다.영양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 「미스·고려개스공업」류지영(柳智英)양-5분 데이트(141)

    「미스·고려개스공업」류지영(柳智英)양-5분 데이트(141)

    부드럽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류지영양(24). 고려「개스」공업 경리과에 근무하는 상냥하고 친절한 아가씨다. 3년전 동아방송이 주최한 전국남녀대학 방송「콘테스트」에서 개인 연기상을 탔을만큼 그녀의 재질과 능력은 아는 사람들 사이에선 다 알려져 있다. 『대학 다닐 때 방송부에서 일했죠. 방송「드라머」에 출연했었어요. 또 대학 연극부에도 가입해서 1년에 두번씩 무대에 섰었답니다』 고려대 국문과 3학년 중퇴라는 류양은 아직까지도 방송「드라머」와 연극에 대한 향수를 잊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아쉬운 표정을 짓는다. 조용하고 이지적인 인상을 풍기는 미모, 사귀면 사귈수록 인정이 많다는 평을 듣는 우등생 규수감이다. 상업하는 아버지 류재철(柳在喆)씨(52)와 어머니 정순덕(丁順德)여사(47)의 4남매중 맏이자 외딸. 결혼은 올해나 내년중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살짝 일러주는 수줍은 아가씨. 신랑감은『착실하고 생활력 강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류양은 경리일을 맡아서인지 성격이 꼼꼼하고 치밀하다. [선데이서울 71년 7월 18일호 제4권 28호 통권 제 145호]
  • [서울의 풍경]성동구 응봉산 개나리

    [서울의 풍경]성동구 응봉산 개나리

    매봉·금호·대현산으로 잦아들던 목멱의 산줄기가 한강으로 침잠하려다 돌연 기세를 일으켜 단애(斷崖)를 깎아낸 곳. 산세가 매를 닮아 응봉(鷹峯)이라 했다지만 도시개발로 파이고 찍힌 상처투성이 언덕에서 산야를 호령하는 맹금의 형세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중랑천과 한강의 합류부에 위치한 해발 95m의 야트막한 돌산. 군데군데 거무튀튀한 절개부를 드러낸 바위 구릉이 잠시나마 눈부신 광휘를 발산하는 시기가 있으니 3월에서 4월로 넘어가는 이 즈음이다. 이 시기의 응봉산은 원색의 노란 물감을 대담한 붓 터치로 찍어 바른 후기인상주의 풍경화를 닮아 있다.20여년 전부터 사방(砂防)용으로 심기 시작했다는 개나리 20만 그루가 산 전체에서 앞다퉈 꽃망울을 터뜨리기 때문이다. ●잠실∼반포 한강조망이 한눈에 28일 오후 응봉산 정상 팔각정에 서자 잠실대교에서 반포대교에 이르는 한강의 ‘V’형 만곡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시선을 강 건너로 향하니 강남의 마천루 뒤편으로 검단·청계·우면·관악산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다시 북으로 눈길을 돌리니 불암·수락·도봉·삼각의 영봉이 도심의 ‘매연띠’를 뚫고 웅장한 자태를 드러낸다. 운동복 차림으로 산책을 나온 박성화(38·금호4가동)씨는 “응봉산이 없었다면 교육·대중교통 인프라가 열악한 이곳에서 16년을 견디지는 못했을 것”이라며 은근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그는 “응봉산의 숨은 매력을 즐기려면 산 전체가 아까시 향으로 가득한 5월에 찾는 것도 좋다.”고 귀띔했다. 응봉의 원경(遠景)에 취해 기어코 한강 다리를 건너온 여성 풍류객도 있었다. 고경리(56)씨는 매년 봄 강 건너서 펼쳐지는 노란 빛의 향연을 동경해오다 마포에 사는 사촌언니 안정선(61)씨를 꾀어 이날 처음 응봉산을 찾았다. 고씨의 집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응봉산과 마주보는 압구정 현대아파트다. 고씨는 “성수대교를 지나 서울숲, 중랑천을 거쳐 응봉산으로 이어진 1시간30분 남짓한 산책코스가 스위스의 루체른 호반길만큼이나 환상적이었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새달 3일 개나리 축제 조망 조건이나 주변 풍광도 빼어나지만 응봉산의 ‘메인 메뉴’는 역시 9만 5000㎡에 걸쳐 펼쳐진 개나리 군락. 노란 원색의 별세계에 파묻히고 싶다면 중랑천 자전거길에서 목조계단을 타고 오르거나 금호4가동 경로당을 끼고 도는 남서쪽 산책로를 타는 것이 제격이다. 산 중턱에 설치된 100㎡의 목조 데크는 깎아지른 절벽을 가득 메운 노랑의 화려함 너머로 서울숲 신록의 발랄함을 함께 조망하기 그만이다. 마침 다음달 3일 팔각정 주변에선 성동구가 마련한 열두번째 개나리축제가 열린다. 서울심포니 가브리엘 브라스 앙상블의 관악합주와 구립어린이합창단의 스윙재즈 공연이 볼 만하다. 구 관계자는 “지난해 개나리가 핀 1주일 동안 2만명의 시민이 응봉산을 찾았다.”면서 “올해는 3만명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 박경리, 8년만에 신작시 발표

    ‘토지’의 작가 박경리(82)씨가 8년여 만에 신작시를 발표했다. 박씨는 ‘현대문학’ 4월호에 ‘까치 설’‘어머니’‘옛날의 그 집’ 등 3편의 작품을 냈다.1999년 이 잡지에 신작시 5편을 기고한 뒤 이듬해 시집 ‘우리들의 시간’을 펴낸 이후 8년 만이다. 특히 세 편 가운데 자연과 환경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까치 설’은 박씨가 직접 원고지에 육필로 쓴 것을 그대로 실어 눈길을 끈다. ‘어머니’에는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회한이 고스란히 묻어나며,‘옛날의 그 집’에서는 15년을 살아온 강원도 원주 단구동 집을 매개로 옛 시절을 회고한다.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
  • [인사]

    통일부 ◇과장급 전출 △대통령실 서기관 정소운 문화체육관광부 ◇과장급 전보 △장관비서관 金辰坤△대변인실 홍보담당관 琴基衡△감사관실 감사〃 全興斗△인사과장 金楨培△운영지원〃 金甲植△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 尹南淳△〃 창의혁신〃 黃焌晳△〃 규제개혁법무〃 文榮皓△〃 정보통계〃 朴秉煥△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산업정책과장 金洛中△〃 영상산업〃 崔秉九△〃 게임산업〃 李榮悅△〃 콘텐츠기술인력〃 全炳極△〃 콘텐츠진흥〃 陣載水△〃 전략소프트웨어〃 姜錫沅△〃 저작권정책〃 吳永雨△〃 저작권산업〃 李樹明△〃 미디어정책〃 李政祐△〃 방송영상광고〃 尹星天△〃 출판인쇄산업〃 愼重石△〃 뉴미디어산업〃 朴炳雨△문화정책국 문화정책〃 李炯虎△〃 국어민족문화〃 朴明順△〃 지역문화〃 全永雄△〃 국제문화협력〃 金暎洙△〃 공간문화〃 韓民鎬△〃 다문화정책팀장 李基政△예술국 예술정책과장 朴民權△〃 공연예술〃 黃星雲△〃 전통예술〃 金龍三△〃 문화예술교육〃 安仙菊△관광산업국 관광정책〃 金泰勳△〃 관광자원〃 崔愿一△〃 관광산업〃 李炳國△〃 국제관광〃 金哲民△〃 관광레저기획〃 朴泰暎△〃 관광레저시설〃 金炫郁△〃 관광레저개발〃 沈斗輔△〃 투자지원팀장 金基勳△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정책기획과장 朴亨東△〃 정책조정〃 李仙△〃 제도개선팀장 兪炳采△종무실 종무담당관 金東圭△체육국 체육정책과장 沈東燮△〃 생활체육〃 崔相賢△〃 스포츠산업〃 金現模△〃 국제체육〃 禹相一△〃 장애인체육〃 曺享鉉△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문화도시정책과장 徐英愛△〃 문화도시개발〃 金在喆△〃 교류협력〃 宣在奎△〃 전당총괄〃 梁洪錫△〃 전당시설〃 鄭世雄△〃 문화환경지원팀장 任永日△홍보지원국 홍보콘텐츠개발과장 姜炳求△자유무역협정국내대책본부 파견 金貞表△대통령실 〃 崔輔根 농림수산식품부 ◇전보 △감사관 金泓相△대변인 金炫秀△기획조정관 房奇爀△비상계획관 金榮奎△농업정책국장 朴玄出△농가소득안정추진단 權垠五△국제농업국장 金鍾珍△식량정책단장 李昌範△유통정책〃 金永晩△축산정책〃 李相吉△수산정책관 林光秀△어업자원관 孫在學△국제수산관 河泳孝△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崔燾一△농업연수〃 梁泰善△국립수의과학검역〃 姜文日△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검사부장 李周浩△〃 질병관리〃 孫讚俊△〃 동물위생연구소장 梁昌範△국립식물검역원장 李基植△국립종자〃 裵仁泰△국립수산물품질검사〃 趙學行△수산인력개발〃 邊光和△국립수산과학원 金二雲 노동부 ◇부이사관 전보 △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 李秀英△고용정책실 고용정책과장 任書正△〃 외국인력정책〃 安庚德△〃 기업인력개발지원〃 黃祐燦△〃 자격정책〃 李在潤△〃 고령자고용〃 李株一△〃 고용서비스기획〃 鄭熒又△〃 청년고용대책〃 文起燮△근로기준국 근로기준〃 林茂松△〃 차별개선〃 朴華珍△서울지방노동위원회 사무국장 金 世坤◇서기관 전보△대변인실 홍보기획팀장 鄭聲均△운영지원과장 李泰熙△기획조정실 창의혁신담당관 權基燮△〃 규제개혁법무〃 宋鴻奭△〃 국제협상팀장 李相福△기획조정실 지식행정〃 魯吉濬△고용정책실 지역고용개발〃 金暎中△〃 일자리창출지원과장 金德浩△〃 직업능력정책〃 朴晟希△〃 직업능력개발지원〃 柴珉錫△〃 여성고용〃 崔基棟△〃 고용서비스지원〃 金泳局△노사협력정책국 노사협력정책과장 金汪△〃 노동조합〃 金京善△〃 노사조정〃 權赫泰△〃 공공노사관계〃 黃甫局△근로기준국 근로조건지도〃 金濟洛△산업안전보건국 근로자건강보호〃 林永燮△〃 안전보건지도〃 金良炫△대구지방노동청 구미지청장 馬晟均△경기지방노동위원회 사무국장 金優東 해양경찰청 ◇경정급 (본청) △총무계장 맹주한△인사〃 이원희△경리〃 이은남△전경관리〃 문현식△복지〃 김문홍△감찰팀장 이성형△감사〃 방영근△홍보1〃 이창주△홍보2〃 채광철△기획〃 구자영△법무〃 안성식△평가관리〃 윤병두△발전전략〃 이명준△예산〃 김도준△재정〃 서승진△관재〃 김효민△창의혁신〃 김성종△조직관리〃 박재화△성과관리〃 도기범△인력개발담당관실 이진철△능력개발팀장 김용진△시험관리〃 김인창△국제협력1〃 김성기△경비계장 김홍희△대테러〃 오윤용△작전경호〃 유연식△항공운영〃 박기익△상황실장 김남식 김창식 이재현△SAR협력계장 김언호△수상레저과장 송수일△해상교통계장 박상춘△수사〃 여인태△형사〃 김종욱△지능수사2〃 황준현△정보3〃 박종철△외사과장 정덕시△외사2계장 송일종△외사담당관실 장지명△사업총괄계장 김기환△함정사업〃 김영모△항공사업〃 박상식△함정정비〃 이종태△보급과장 김용범△정보통신기획계장 최정환△연구개발센터 기획관리〃 김태호△연구개발센터 장비개발연구팀장 박종범△해양경찰학교 훈련단장 조석태△정비창 총무과장 김상배(지방해양경찰청)△동해 경무계장 엄인섭△〃 청문감사〃 이철래△〃 수사〃 강홍렬△〃 정보〃 여운원△〃 특공대장 임종훈△〃 항공단장 양덕현△서해 정보계장 박남수△남해 청문감사〃 양명만△〃 안전관리〃 김연욱△〃 정보〃 이재현(해양경찰서)△서귀포 경무기획과장 김동만△〃 경비구난〃 서영교△속초 경무기획〃 정태경△〃 경비구난〃 권기혁△〃 해상안전〃 이경선△〃 수사〃 박재수△〃 정보〃 김현△동해 5001함장 곽영환△〃 3007〃 송병윤△〃 1508〃 윤혁순△〃 경무기획과장 주영덕△〃 경비구난〃 윤석훈△〃 정보〃 강봉석△포항 1003함장 이점용△〃 경비구난과장 최영성△〃 정보〃 이광숙△울산 수사〃 권오성△〃 해상안전〃 최성대△완도 수사〃 안승남△목포 3003함장 김도수△〃 1506〃 김삼현△〃 1509〃 정태인△〃 1006〃 김평연△〃 경무기획과장 문철식△〃 해상안전〃 임태식△군산 1001함장 김동진△〃 1007〃 김일평△태안 1507〃 안병석△〃 장비관리과장 박승모△부산 1503함장 진장곤△〃 1005〃 박형민△〃 경무기획과장 유우실△〃 경비구난〃 한용호△통영 경무기획〃 임명길△〃 경비구난〃 박상욱△여수 경무기획〃 전현명△〃 장비관리〃 강대관△〃 수사〃 김두형△〃 경비구난〃 김근식△제주 경무기획〃 강문봉△〃 경비구난〃 최의규△〃 수사〃 강성희△〃 3006함장 이병훈△〃 1501〃 지명환△〃 1502〃 정명호△인천 장비관리과장 강수만△〃 특공대장 윤태연△〃 1505함장 이운성△〃 1002〃 김환경 수협중앙회 ◇선출 △지도관리상임이사 金榮台△신용〃 姜明錫 조선일보 △발행인ㆍ인쇄인 겸 대표이사 부사장 金文純△이사 논설위원실장 宋熙永△〃 CS본부장 李赫周 한국외대 (서울캠퍼스)△인사혁신팀장 李在明△입학관리〃 황순규△연구지원〃 趙智衍△학생감동〃 崔台卿△경력개발센터〃 李炳學△대학원사무2〃 安相德△정보통신〃 申旺澈△외국어연수평가원 운영〃 朴鍾恩(용인캠퍼스)△경력개발센터팀장 柳在華△국제사회교육원 운영〃 李載晸
  • 두 아이 사체 왜 따로 유기했나

    안양 초등생 유괴·살해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검거된 정모(39)씨가 경찰에서 범행을 일부 자백했지만 여전히 의문은 꼬리를 물고 있다. 숨진 이혜진(10)·우예슬(8)양의 사체는 수원 호매실동 야산과 또다른 안양 인근 장소에 떨어진 채 각각 묻힌 것으로 알려져 정씨가 어떤 의도를 가졌을지 궁금하다. 경찰대 표창원 교수는 “두 사체를 유기하려면 차에서 유기 장소로 두 차례 왕복해야 하기 때문에 적발될까 두려워해 미리 장소를 두 곳 정해 두고 한 곳에서 유기한 뒤 아무 일 없었던 듯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계획적이라는 얘기다.●숨진 아이들 사체는 어디서 어떻게 처리했나 숨진 두 아이가 안양8동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시간이 지난해 12월25일 오후 5시쯤이고 정씨가 렌터카를 빌린 시간은 오후 9시50분. 결국 정씨가 안양8동 반지하 집에서 살해한 뒤 사체 유기를 위해 렌터카를 빌렸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경찰은 정씨 집에서 혈흔이나 범행 도구 등을 발견하지 못해 의문이 남는다. 또 금품을 요구하는 협박 전화가 전혀 없었고, 정씨가 범행 여부 자체에 대해서도 오락가락하는 진술을 하고 있어 범행 동기도 여전히 의문이다. 게다가 렌터카를 빌린 17시간 동안 12월 한겨울 꽁꽁 언 땅을, 남들의 시선을 피해 어떻게 파서 암매장할 수 있었나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이에 따라 공범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화성 부녀자 연쇄실종과 동일범인가 2006년 12월부터 한 달 새 경기 군포와 화성, 수원 일대에서 노래방 도우미 배모(47)씨와 박모(37)씨, 경리 박모(52)씨와 여대생 연모(21)씨가 연쇄적으로 사라진 연쇄실종사건이 발생했다. 군포 인근에서 대리운전을 해온 정씨는 이 사건의 용의선상에도 올랐다. 숨진 박씨와 마지막으로 만난 손님의 인상착의도 ‘혼자 노래방에 와 도우미를 부른 30대 중·후반 170㎝ 전후 남자’이기 때문에 독신에 39세인데다 신장까지 비슷한 정씨와의 연관성이 없진 않다. 하지만 범죄 전문가들은 동일범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분석한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는 보통 성인 여성에 대한 콤플렉스나 두려움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1년 새 범행 대상 연령대가 급변하긴 어렵다는 얘기다. 표 교수는 “부녀자 실종사건의 범인은 차를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신뢰성 있는 복장과 말투 등을 사용해 성인 여성들을 차에 태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보이는데 대리운전을 하며 궁핍하게 살아온 정씨가 동일범일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이재훈기자 nomad@seoul.co.kr
  • [부고]

    박상서(사업)민서(〃)씨 부친상 차주덕(사업)한종태(서울신문 논설위원)씨 빙부상 14일 서울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02)2072-2018김성철(전 한국레슬레 전무이사)씨 별세 대환(한국마즈 마케팅 과장)지연(법무법인 충정 변호사)경리(미국 GE capital)씨 부친상 강병훈(소중한아이정신과 원장)씨 빙부상 전앤(명지대 대학원생)씨 시부상 14일 서울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02)2072-2022최해식(외환은행 부장)씨 빙모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30분 (02)3410-6901송하봉(전주 MBC 편집부장)씨 모친상 14일 전북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10시 (063)250-2441송승환(PMC프러덕션 대표)씨 모친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8일 오전 8시 (02)3010-2631권홍국(한국건설산업중앙회 영업부 부장)찬국(한국증권선물거래소 시장감시본부 과장)씨 부친상 최종화(홍익대 도서관 멀티미디어팀장)씨 빙부상 13일 강북삼성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16-9396-7978송철호(전 제일기획 전무·전 농심기획 사장)영호(의정부지검 부장검사)씨 모친상 김남선(한국자산신탁 부장)윤석원(자영업)서용석(〃)씨 빙모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02)3410-6912함종리(전 고성군청 환경보호과장)종득(강원도민일보 이사·독자국장)종화(춘천시청 수도과)종성(속초시청 세무과)태정(속초 소야초등학교 교사)씨 부친상 심상범(전 서울 성심여고 교감)임영록(속초 조양초등학교 교장)노재영(전 수원세무서 근무)씨 빙부상 이기순(홍천여중 행정실장)홍혜숙(춘천시청 지식산업과)고향미(양양 도레미피아노 원장)씨 시부상 14일 속초 아산상조장례식장, 발인 16일 오전 8시 (033)635-2143송재주(전 충북도의원)씨 별세 백훈(사업)남훈(〃)인호(〃)씨 부친상 14일 충북 옥천농협장례식장, 발인 17일 오전 8시30분 011-9425-5145홍순명(평화통일시민연대 명예이사장)씨 별세 13일 남양주장례식장, 발인 15일 오전 8시 (031)528-4445하태권(서울산업대 행정학과 교수)씨 별세 박낭자(서일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씨 상부 진수(아시아경제신문 증권부 기자)용수(학생)씨 부친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7일 오전 6시30분 (02)3410-6920문대근(현대중공업 기전연구소 과장)씨 빙부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010-2262이영선(국민은행 남산타운지점장)씨 부친상 이승근(강신산업 부장)씨 빙부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02)3010-2263
  • 동아일보 회장 김학준씨 사장 김재호씨

    동아일보 회장 김학준씨 사장 김재호씨

    동아일보사는 6일 정기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열어 김학준(사진 왼쪽·65) 대표이사 사장을 회장으로, 김재호(44) 대표이사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각각 선임했다. 김 신임 회장은 2001년 2월부터 7년간 동아일보 사장을 맡아왔으며, 김 신임 사장은 이날자로 동아일보의 발행·편집인을 맡는다. 김병관 동아일보 전 회장의 장남인 김 신임 사장은 경복고와 미국 보스턴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 8월 동아일보에 입사해 정보과학부와 사회부, 정치부에서 기자로 근무한 뒤 경리담당 이사, 사장실장 상무, 신문담당 전무, 경영담당 전무, 대표이사 부사장을 역임했다. 이문영기자 2moon0@seoul.co.kr
위로